안녕하세요 잠죽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지역별 부동산 정보는 제주특별자치도로서 타지역과 묶음이 없이 단독으로 움직이는 시장을 형성하고 있기에 해당 정보를 통해 제주도의 부동산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시기를 바랍니다.
제주특별자치도 매매 및 전세 가격지수
제주도의 경우 2015~17년도까지 상승 흐름세에서 2021년도에 급격하게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후에는 상승세가 꺾이면서 하락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12년도 이후부터 전국적으로 비교를 해보아도 매매가격 지수는 높은 흐름세를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세 또한 마찬가지로 높은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요. 매매, 전세 두가지에서 꾸준히 우상향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표를 확인해보면, 제주시, 서귀포시 중 대장 아파트 Top 10 중 9은 제주시에 자리를 잡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는 지역 역시 제주시에 집중되어 있고, 학원가 또한 그에 맞춰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거래량 지수
평균 200건 초반정도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으며, 24년도에 총 2500여건의 거래가 되었음을 볼 수 있으며 위에서 잠시 언급했듯 거래량은 제주시 1,833건, 서귀포시 731건으로 제주시가 훨씬 많은 수치로 거래가 진행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청약경쟁률, 미분양, 입주물량 추이
작년에 모집 및 당첨자 발표까지 완료된 3개의 단지를 보면 위파크 제주 1단지 84A 기준 7.6:1, 2단지는 동일한 평수 기준으로 6.51:1로 확인이 되며 제일풍경채 센트럴 파크의 경우 84A 2.52:1로 2순위를 기록했으며 타 평수는 미달이 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경쟁률 순위에 영향을 받듯 1위를 기록한 제주 위파크 1,2단지는 평당 약 2800만원으로 9억2천~3천정도의 시세를 보이고 있으며 센트럴 파크는 평당 약 2300만원으로 비슷한 시기에 모집 및 입주임에도 불구하고 1억원의 차이가 보이고 있습니다
미분양의 경우 22년도에 1천건도 안되었지만 24년 11월 2800여건으로 상당히 올랐음을 볼 수 있으며 해당 미분양건 중 약 1900건은 제주시에서 발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8년도부터 계속해서 부족한 입주물량은 26년의 경우에도 300가구가 되지 않는 물량이 예정되어 있어 해당 추이가 추후 가격 변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주택가격 심리지수
전국의 부동산 분위기 침체와 마찬가지로 매수우위 지수는 높지 않은 편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면적별 입주량 및 거래량
40~50평대 이상되는 대형 평수 입주량은 많지 않은 편이며, 27년도 입주량은 전체 세대수에 비해 있는 편입니다.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30평대 인기는 가장 높지만, 추후 상승장에서 대형 평수가 어떤 형태로 시장에 작용을 할지 지켜봐야 할 점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및 세대수
해당 통계도 세대수는 늘어나며, 반대로 인구수는 감소를 하는 추세입니다.
25~26년 적정 수요에 비해 입주량은 부족한 상황이 예상되며 평단가는 -1.8% 감소한 약 1천4백만원으로서 시장강도 현황에서도 안좋은 상황을 보이고 있기에 추후 어떤 변동 사항이 있을지 꾸준하게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제주특별자치도에 대한 부동산 정보에 대해 다뤄보았는데요 부동산 투자에 앞서 도움 받으셨길 바라며 추후 타지역 정보로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지역별 부동산 정보 6탄(울산광역시) (0) | 2025.02.05 |
---|---|
2025년 지역별 부동산 정보 5탄(부산광역시) (0) | 2025.02.04 |
2025년 지역별 부동산 정보 3탄(광주광역시) (1) | 2025.01.31 |
2025년 지역별 부동산 정보 2탄(대구+경북) (0) | 2025.01.24 |
2025년 지역별 부동산 정보(대전시, 세종시) (1) | 2025.01.23 |